목차
임산부 복지 제도 -
2023년 바뀐 산모 100만원 지원금!! 태아부터 출산까지 팁 정리!!
안녕하세요. 소울 입니다.
오늘 소개드릴 복지는 임산부 복지 제도가 바뀌어서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2022년까지는 조금 적었던 혜택,
2023년이 넘어가면서부터 바뀐 혜택들이 있습니다.
태아를 잉태한 순간부터 출산할때까지 해야하는 복지들을 정리해 봅니다.
먼저 축하드리구요 ^^
서울시 - 2022년, 2023년 임신 혜택 정리
예비맘이라면 한번쯤은 고민해봤을 국가바우처 사업!
복지혜택들을 정리해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모르고 놓치는건 너무 아깝자나 !
2022년 당시에는 첫 임신을 했을 때 혜택들은 다음 표와 같습니다.
제목 | 신청시기 | 내용 | 신청방법 |
국민행복카드 발급 | 임신확인서를 발급받는 순간 | - 2022 임산부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국민행복카드'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 우리나라에서는 '국민행복카드'라는 바우 처 사업을 실시하고 있는데, 임신, 출산 관련 진료비, 보육료 등을 지원할 때는 국민행복카드를 통해 서 정부에서 지원해주게 됩니다. |
http://www.voucher.go.kr/card/introduce.do?p_sn=51 |
임신출산진료비 지원 | 임신확인서를 발급받는 순간 | - 지급조건 :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 시 가능합니다. - 금액 : 단태아 100만 원, 다태아 140만 원 |
http://www.voucher.go.kr/voucher/pregnancy.do |
(정부지원) 산후도우미 - 소득편차있음 | 태아를 출산한 순간 (출산 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일로부터 30일까지) |
10일기준 - 약 50만원정도 개인부담금 있음 | 산모의 주소지 관할 시군구 보건소 https://www.socialservice.or.kr:444/user/htmlEditor/view2.do?p_sn=7 |
출산가구 전기료 지원 | 태아를 출산한 순간 | - 지급조건 :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 시 - 금액 : 전기료 30%(최대 16,000원) |
한전고객센터 - (국번없이)123 (구비서류 필요 - 등본) https://www.gov.kr/portal/service/serviceInfo/B41000200026 |
첫만남 이용권 | 태아를 출산한 순간 | - 지급조건 :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 시 - 금액 : 최초 1회 200만 원 |
https://www.childcare.go.kr/ |
영아수당(*양육수당에서 2세 전까지 확대된 지원금) | 태아를 출산한 순간 | - 지급조건 : 22.01.01 이후 출생아로 0-23개월까지, 가정보육 영아 대상 - 금액 : 월 30만원 현금 계좌 입금 (매달25일) |
동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정부24 |
아동수당 | 신생아 출생일 포함 60일 이내 | - 지급조건 : 만8세 미만 아동 (보육시설 이용 여부 관계없음) - 금액: 월 10만원 현금 계좌 입금 (매달25일) |
동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정부24 |
양육수당(*보육료 전환필요) | 태아를 출산하고 2년 뒤 보육료 전환필요 | - 지급조건 : 24-86개월 가정보육 영유아 대상 - 지급금액: 월 10만원 현금 계좌 입금 |
동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정부24 |
(별첨) 지자체 - 복지로 검색방법 | - 검색어 : 출산용품 / 산후조리 | - 지급조건 : 지자체에서 복지혜택이 있어야 함 | 복지로 > 복지서비스 > 서비스찾기 https://www.bokjiro.go.kr/ssis-tbu/twataa/wlfareInfo/moveTWAT52005M.do |
위 내용중 빠진것도 있을 수 있지만,
그래도 2022년까지만 해도 "저출산"이 계속 언급되면서 정부에서 지원을 아끼지 않았는데요.
그럼에도 지원이 부족하다고 느낄 수 있고,
그렇기 때문에 2023년에 또 지원이 늘어난 것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첫 임신을 했을 때 챙겨야 하는 복지 - AtoZ
위에서 언급한 내용들 이외에
2023년에 첫 임신을 했을 때 챙겨야 하는 복지를 다시 언급해 봅니다.
1. 국민행복카드 발급
정보 : 임신확인서를 확인한 임산부에게 지급됩니다.
변경된점 : 없음
2. 보건소 임산부 등록
정보 : 임신확인서를 확인한 임산부에게 원스톱 복지등록을 진행해 줍니다.
변경된점 : 없음
3. 태동검사 환급
정보 : 24주 이상 자궁수축 없는 임산부에게 1회, 만 35세 이상은 2회 환급해 줍니다.
변경된점 : 태동검사비용이 "급여"로 되어있는 경우 -> 환급 신청 필요 없음
태동검사비용이 "비급여"로 되어있는 경우 -> 환급신청 가능
4. KTX & SRT
정보 : 임산부와 동반1인까지 특실좌석을 일반실 가격으로 이용 가능.
변경된점 : 맘편한KTX등록 -> 출산후 1년까지 이용 가능
5. 교통비지원
정보 : 서울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임산부에 한함. 12주 이후부터 신청 가능
변경된점 : 2022년 7월 생김. 1인당 70만원
6. 자동차 보험료 할인 (자녀할인특약)
정보 : 일부 자동차보험사에서는 0세~만 6세이하 자녀를 가지고 있다면, 특약할인이 가능
변경된점 : 약 10%정도 할인. 보험사마다 다름
7.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지원
정보 : 친환경농산물 지원사업 - 적자로 인해 경기도 일부지역을 제외하고 없어짐.
변경된점 : 없어짐.
8. 외래진료비 20%감면
정보 : 모든 질병에 대해 진료비20% 절감. 산모수첩 & 임신확인서를 지참 필요
변경된점 : 20% 절감
첫 임신을 하고 출산했을 때 챙겨야 하는 복지 - AtoZ
1. 첫만남 이용권
정보 : 출생하는 모든 아기들에게 혜택이 적용됩니다.
출산시 최초 1회 200만원 바우처 -> 국민행복카드로 들어옴
출생일로부터 1년간 사용 가능.
변경된점 : 없음.
2. 영아수당(부모수당)이 변경됩니다.
정보 : 0-23개월 아기를 양육하는 부모에게 지원되는 아기 지원금으로 부모의 소득 및 재산과 관계없이 지급됩니다.
변경된점 : 2023년에는 매월 70만원 (0-11개월) / 매월 35만원 (12개월-23개월) 혜택이 있고,
2024년에는 매월 100만원 (0-11개월) / 매월 50만원 (12개월-23개월) 혜택이 있습니다.
신청방법 : 주소지 주민센터, 행정복지센터, 정부24, 복지로 등 온라인으로도 신청가능 합니다.
3. 양육수당
정보 : 24개월 이후 가정양육시 월 10만원 지원
변경된점 : 최대 86개월까지 월 10만원 양육지원 가능
신청방법 : 주소지 주민센터, 행정복지센터, 정부24, 복지로 등 온라인으로도 신청가능 합니다.
4. 아동수당 (양육수당과 별개)
정보 : 24개월 이후 만 8세까지 월 10만원 지원
변경된점 : 최대 86개월까지 월 10만원 양육지원 가능
신청방법 : 주소지 주민센터, 행정복지센터, 정부24, 복지로 등 온라인으로도 신청가능 합니다.
5. 한전 전기료 할인
정보 : 출산 후 한전 출산가구 전기료 할인
변경된점 : 없음
신청방법 : 국번없이 123
2023년 하반기에 변경되는 복지는?
1. 산후조리 경비지원
정보 : 서울시 거주 모든 산모 (6개월 이상 거주).
산후조리는 출산 후 여성을 임신 전 건강상태로 회복시키는 것으로, 산후조리 기간은 대체로 분만 후 6주간을 의미합니다.
변경된점 : 신규로 생성. 출산일 기준 60일 이내 신청. 100만원 지원 예정
신청방법 : 2023년 9월 1일 예정.
2. 둘째 출산시 첫째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 확대
정보 : 만 12세 이하 아동이 있는 맞벌이 등 양육공백 가정에 아이돌보미가 찾아가는 방문 돌봄 서비스.
둘째 이상 출산 기준. 아이돌봄서비스 본인부담금 50% 지원. 취약계층 전액 지원.
변경된점 : 둘째 이상에 본인부담이 있었는데, 전액 지원으로 변경되었음.
서울시 지원을 통해 중위소득 150% 이하 가정은 본인부담금의 100% 지원받아 아이돌봄 서비스를 전액 무료
중위소득 150% 초과 가정도 본인부담금의 50%를 지원받을 수 있음.
지원기간은 임신 판정일로부터 출산 후 90일까지, 총 5개월 간(다태아 6개월)이다.
신청방법 : 2024년 1월 1일 예정.
3. 고령산모 검사비 지원
정보 : 서울시 거주 모든 만 35세 산모 (6개월 이상 거주).
산후조리는 출산 후 여성을 임신 전 건강상태로 회복시키는 것으로, 산후조리 기간은 대체로 분만 후 6주간을 의미합니다.
변경된점 : 신규로 생성. 출산일 기준 60일 이내 신청. 최대 100만원 지원 예정
신청방법 : 2024년 1월 1일 예정.
육아휴직은?
솔직히 우리나라에서 육아휴직을 사용한다는건 많이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사용하신다면 3+3 복지제도라는게 있어서 3개월까지는 100% 통상임금을 보장한다고 하네요.
그럼 이 글이 육아를 시작하는 예비맘, 예비아빠 들에게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관련글
1.URL
서울시 - 뉴스 - https://mediahub.seoul.go.kr/news/newsMain.do
임산부 - 전기료 - https://www.gov.kr/portal/service/serviceInfo/B41000200026
임산부 - 교통비 - https://www.seoulmomcare.com/notice/userNoticeDetail.do
내용이 도움이 되셨거나 초보 블로거를 응원하고 싶으신 분은 아래 하트 ♥공감 버튼을 꾹 눌러주세요!
내용의 수정이 있거나 도움이 필요하신 분은 방명록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