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25

Windows 10 blue screen issue Windows 10 blue screen issueMemory Management Error in Windows 10 Blue Screen Errors 동기) 저의 컴퓨터가 워낙 똥컴이라 계속 블루스크린이 발생보통의 사용자는 그냥 넘어가거니 하겠지만너무 자주 발생하면 이것이 짜증니 나기 때문에 원인 및 해결방법을 정리해 봄. 확인방법)추천) debugging Tools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hardware/drivers/debugger/debugger-download-tools 설치를 시작 ( 패키지에서 debug tool만 선택)설치 완료 후!@ (실행이 안될 수 있음)-> 경로에 직접 찾아 들어가서 실행합니다.-> Path : C:\Program Fi.. 2020. 8. 9.
Shell Script 에러 - syntax error near unexpected token `$'{\r'' (현상) ./16.IAM_VIEW.sh: line 1: syntax error near unexpected token `$'{\r'''/16.IAM_VIEW.sh: line 1: `function a_sort () { (원인)OS가 다르기 때문에 개행문자 스타일에 차이가 있다. (해결방법)http://www.bastet.com/uddu.zip 에서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cmd 창을 연 상태에서다음과 같이 실행한다. DOS2UNIX.EXE {$파일경로} 파일을 다시 업로드 한 뒤 실행하면 끝 2020. 8. 9.
HTTPSTAT 설정 및 테스트 - 응답속도별 정리하는 python 스크립트 HTTPSTAT 설정 및 테스트(응답속도별 정리하는 python 스크립트 용도 : 어느 구간에서 지연이 발생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방법 : 1. 설치 wget https://raw.githubusercontent.com/reorx/httpstat/master/httpstat.py 2. 사용 python httpstat.py www.naver.com 참고 : https://github.com/reorx/httpstat 2020. 8. 9.
네트워크 장비 이해 * 랜카드 -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장비 - 최근에 메인보드에 통합 1. 반이중 방식(Half-Duplex) - 양방향으로 데이터가 전송 - 동시에 전송 불가능 - 충돌을 피하기 위해 상대방의 데이터가 전송완료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데이터를 보내야 함. 2. 전이중 방식 (Full-Duplex) - 하나의 전송 선로에서 데이터가 동시에 양방향으로 전송될 수 있는 방식 - 송신 & 수신 - 이기종 간에 통신모드가 맞지 않아, 속도 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 리피터 - 이더넷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본적인 구성은 버스형태 - 전기적인 신호를 증폭시킨다 - Physical Layer에 해당한다. - 단점 : 손상된 데이터에 대해 검사하지 않는다. * 허브 - 랜에서 1대의 컴퓨터가 송신한 신호를 모든 컴.. 2020. 8. 9.
네트워크 일반 - ARP, PING , TCP , UDP 통신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 ARP는 통신을 원하는 호스트의 IP address를 알고 있을 때, 그 호스트의 MAC 주소를 알고자 할 경우에 사용 구분 IP주소 MAC주소 Layer Layer 3(네트워크 계층) Layer 2 (데이터링크 계층) 길이 32Bit 48Bit 성격 논리적인 주소 물리적인 주소 주소 변경여부 패킷이 출발지에서 목적지에 전달되는 동안 바뀌지 않고 전송된다. 타 네트워크로 패킷 발송시 전송 과정 중에 MAC 주소가 변경된다. * ARP 테이블 확인방법 명령어 : arp -a (IP , MAC주소, 유형) 명령어 : arp -s [IP주소] [MAC주소] -> 유형 : 정적 인 IP, MAC 주소가 ARP table에 등록된다. 명령어 : arp.. 2020. 8. 9.